본문 바로가기
투자

통계로 보는 최근 5년 동안 가장 인구가 많이 증가한 Top 10 도시 <ft. 도시연구소>

by 고독한 파머 2023. 5. 8.

팩트체크에 들어가며

 

  <도시연구소> 유튜브 채널에서 '최근 5년간 인구수가 가장 많이 증가한 도시>를 보게 되었다. 누구나 검색하면 알 수 있는 통계자료로 이러한 콘텐츠를 만들 수 있다는 게 신선했다. 그리고 과연 유튜브에서 본 대로 그러한지 팩트 체크도 하고 싶었다.

  아래의 행정안전부 사이트에 접속하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자료를 검색해 보았다. 최근 5년 동안(2018.12~2022.12) 가장 인구가 많이 증가한 Top 10 도시를 함께 알아보자. 

 

  <도시연구소>와 같이 월간 단위로 (2018년 1월~2023년 3월) 알아보고자 했으나  검색기간을 36개월로 제한하여 연간 단위(2018.12~2022.12)로 검색해 보았다.

행정안전부 사이트 내 주민등록 인구통계 조회기간 설정(2018년 1월-2023년 3월)
행정안전부 사이트 내 주민등록 인구통계 조회기간 설정(2018년 1월-2023년 3월)
행정안전부 사이트 내 주민등록 인구통계 조회기간 설정(2018년 12월-2022년 12월)
행정안전부 사이트 내 주민등록 인구통계 조회기간 설정(2018년 12월-2022년 12월)

  

 

 

도      시 2018.12 2022.12 최근 5년
인구증가
총인구수 세대수 총인구수 세대수
1. 화성시 758,722 301,025 910,814 387,820 152,092
2. 평택시 495,642 214,409 578,529 271,362 82,887
3. 하남시 254,415 105,832 326,059 140,415 71,644
4. 세종특별자치시 314,126 123,762 383,591 159,386 69,465
5. 시흥시 448,687 181,061 512,912 223,534 64,225
6. 김포시 423,170 166,635 484,267 202,189 61,097
7. 남양주시 681,828 264,488 737,353 304,288 55,525
8. 파주시 451,848 188,407 495,315 218,264 43,467
9. 용인시 1,035,126 390,137 1,074,971 432,151 39,845
10. 경기도 광주시 363,782 150,055 391,462 170,497 27,680

 

그리고 세종특별자치시를 제외한 비수도권 TOP 5

비수도권 2018.12 2022.12 최근 5년
인구증가
총인구수 세대수 총인구수 세대수
1.충남 아산시 312,822 132,159 334,539 152,249 21,717
2.강원도 원주시 344,070 149,166 360,807 168,755 16,737
3.충북 청주시 837,749 353,320 849,573 393,697 11,824
4.충남 천안시 646,075 273,851 657,559 302,893 11,484
5.제주도 667,191 287,104 678,159 311,355 10,968

 

 

  2018년 12월에서 2022년 12월까지 최근 5년 치를 연간 검색해 본 결과 <도시연구소> 유튜브 채널의 내용과 다른 점이 몇 군데 있었다. 

 

1. <도시연구소>에서는 세종특별자치시가 인구 증가가 2위였는데, 실제 이 기간동안의 인구증가는  69,465명으로 4위에 해당되었다.

 

2. <도시연구소>에서는 시흥시가 인구증가가 6위였는데, 실제 이 기간동안의  인구증가는  64,225명으로 5위에 해당되었다.

 

3. <도시연구소>에서는 파주시가 인구증가가 9위였는데 , 실제 이 기간 동안의  인구증가는  43,467명으로 8위에 해당되었다.

 

4. <도시연구소>에서는 원주시가 인구증가가 18위였는데 , 실제 이 기간동안의 인구증가는  16,737명으로 15위에 해당되었다.

 

5. <도시연구소>에서는 청주시가 인구증가가 21위였는데, 실제 이 기간동안의 인구증가는  11,826명으로 18위에 해당되었다.

 

6. 반면에 <도시연구소>에서는 천안시가 인구증가가 14위였는데, 실제 이 기간 동안의 인구증가는 11,484명으로 19위에 해당되었다.

 

7. <도시연구소>에서는 제주시가 인구증가가 22위였는데, 실제 이 기간동안의 인구증가는  10,968명으로 20위에 해당되었다.

 

도시연구소 도시순위 vs 고독한 파머 도시순위
1위 화성시   1위 화성시
2위 세종특별자치시   2위 평택시
3위 평택시   3위 하남시
4위 하남시   4위 세종특별자치시
5위 김포시   5위 시흥시
6위 시흥시   6위 김포시
7위 남양주시   7위 남양주시
8위 용인시   8위 파주시
9위 파주시   9위 용인시
10위 경기도 광주시   10위 경기도 광주시
11위 고양시   11위 고양시
12위 양주시   12위 양주시
13위 아산시   13위 아산시
14위 천안시   14위 과천시
15위 과천시   15위 원주시
16위 의정부시   16위 의정부시
17위 인천시   17위 인천시
18위 원주시   18위 청주시
19위 오산시   19위 천안시
20위 양산시   20위 제주도
21위 청주시   21위 오산시
22위 제주도   22위 충청북도 진천군
23위 충청북도 진천군    23위 양산시

 

 

 

  위처럼 인구가 증가한 도시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일자리가 집중되어 있는 수도권에 위치하거나 수도권과 가까운 거리에 있는 도시라는 점이다. 일자리가 사람을 부르고 사람이 몰리면서 도시들은 커지고 인프라가 집중되는 것이다.

결국, 양질의 일자리와 쾌적한 주거환경에 의한 인구증가는  도시를 확장시킨다. 반면에 인구절벽 시대를 맞이하고 있는

대한민국에서 그만큼의 지방의 인구가 도시로 이동하여 지방의 공동화 현상을 심화시키고 있다.

 

정보의 홍수 속에서 살아남는 법

 

  이번 블로그는 처음으로 타인의 정보를 스스로 팩트체크해 봤다는 데 의의가 있다. 우리는 수많은 정보의 홍수 속에서 무비판적으로 정보를 받아들이며 살아가고 있다. 한낱 개인이 그 많은 정보를 일일이 팩트체크하며 수용할 수 있겠는가?

  그렇지만 본인이 투자자로서 자본주의 사회에서 살아남으려면 최소한 자기가 관심이 있고, 이를 투자에 활용할 정보라면 손품 발품을 팔아서라도 검증하고 팩트체크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  그 정보를 온전히 소화해서 자신의 자산을 지키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